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ship:minmatar [2024/06/20 10:27] Muroju [11.1.2. Mammoth] |
ship:minmatar [2025/08/17 18:05] (현재) 2406:5900:1181:661b:dc9b:a18f:be07:f99a [2.2.7. Stiletto] |
||
---|---|---|---|
줄 196: | 줄 196: | ||
민마타의 코버트 옵스 프리깃 | 민마타의 코버트 옵스 프리깃 | ||
+ | T2 탐사선 중에서 제일 빠르기 때문에 클록 상태로 버블에서 빠져나오는 시간이 제일 짧다. | ||
+ | 덕분에 종종 각 잡고 클로킹 해제하려고 드론 달고 뛰어오는 상대방을 피하기가 쉽다. | ||
=== - Hound === | === - Hound === | ||
|<100% 50% 50%>| | |<100% 50% 50%>| | ||
줄 249: | 줄 250: | ||
>코어 컴플렉션은 막강한 화력을 중시하는 민마타식 전통의 설계 대신 전자전 및 방어력에 치중된 함선을 개발하기로 유명합니다. | >코어 컴플렉션은 막강한 화력을 중시하는 민마타식 전통의 설계 대신 전자전 및 방어력에 치중된 함선을 개발하기로 유명합니다. | ||
- | 아머 함선인데도 불구하고 4미드라는 넓은 슬롯을 가지고 있어 스크램블러와 디스럽터를 동시에 달고도 듀얼프롭을 쓸 수 있음과 동시에 속도도 빠른 인셉 베스트셀러. 종종 인터셉터의 버블 무시 롤 보너스를 활용하여 탐사모듈을 넣고 2초 미만 얼라인 세팅을 하여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다. | + | 아머 함선인데도 불구하고 4미드라는 넓은 슬롯을 가지고 있어 스크램블러와 디스럽터를 동시에 달고도 듀얼프롭을 쓸 수 있음과 동시에 속도도 빠른 인셉 베스트셀러. 태클할 먹잇감을 찾아 분주히 돌아다니는 스틸레토는 세이버 다음가는 요주의 경계대상이다. |
+ | |||
+ | 종종 인터셉터의 버블 무시 롤 보너스를 활용하여 탐사모듈을 넣고 2초 미만 얼라인 세팅을 하여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다. | ||
이름의 뜻은 단검의 종류 중 하나인 스틸레토 | 이름의 뜻은 단검의 종류 중 하나인 스틸레토 | ||
=== - Scalpel === | === - Scalpel === | ||
줄 761: | 줄 764: | ||
| @#131d27:{{:라지.png}}{{:컴뱃.png}}{{:프로젝타일.png}}{{:실드.png}} || | | @#131d27:{{:라지.png}}{{:컴뱃.png}}{{:프로젝타일.png}}{{:실드.png}} || | ||
| @#555:<fc #fff>7 High / 6 Medium / 6 Low</fc> | @#555:<fc #fff>4 Turret / Drone 50, 75</fc> | | | @#555:<fc #fff>7 High / 6 Medium / 6 Low</fc> | @#555:<fc #fff>4 Turret / Drone 50, 75</fc> | | ||
- | |**롤 보너스**\\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대미지 100% 보너스\\ [[/트랙터빔]] 범위 100% 보너스\\ [[/트랙터빔]] 견인속도 100% 보너스\\ [[/마이크로 점프 드라이브]] 딜레이 70% 감소\\ 바스티온 모듈 사용 가능\\ {{https://image.eveonline.com/Type/377_32.png?16px&nolink}}쉴드 익스텐더량 100% 증가\\ {{https://image.eveonline.com/Type/11293_32.png?16px&nolink}}아머 플레이트량 50% 증가\\ {{https://image.eveonline.com/Type/1333_32.png?16px&nolink}}리인포스드 벌크헤드량 5% 증가\\ **Minmatar Battle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대미지 7.5% 보너스\\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폴오프 10% 보너스\\ **Marauders 보너스 (스킬 레벨당)**\\ 실드부스트량 5% 보너스\\ 아머리페어량 5% 보너스\\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트래킹 7.5% 보너스|| | + | |**롤 보너스**\\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대미지 100% 보너스\\ [[/트랙터빔]] 범위 100% 보너스\\ [[/트랙터빔]] 견인속도 100% 보너스\\ [[/마이크로 점프 드라이브]] 딜레이 70% 감소\\ 바스티온 모듈 사용 가능\\ {{https://image.eveonline.com/Type/377_32.png?16px&nolink}}<del>쉴드 익스텐더량 100% 증가</del>\\ {{https://image.eveonline.com/Type/11293_32.png?16px&nolink}}<del>아머 플레이트량 50% 증가</del>\\ {{https://image.eveonline.com/Type/1333_32.png?16px&nolink}}<del>리인포스드 벌크헤드량 5% 증가</del>\\ **Minmatar Battle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대미지 7.5% 보너스\\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폴오프 7.5% 보너스\\ **Marauders 보너스 (스킬 레벨당)**\\ 실드부스트량 5% 보너스\\ 아머리페어량 5% 보너스\\ {{https://image.eveonline.com/Type/497_32.png?16px&nolink}}라지 프로젝타일 터렛 트래킹 7.5% 보너스|| |
>머라우더는 첨단 기술의 집합체로 적대적인 지역에서의 장기간 임무 수행이 가능합니다. 공수양방에서 위력적인 능력을 지닌 함선이며 이례적으로 바스티온 모듈의 탑재가 가능합니다. 바스티온 모듈은 재구성 기술과 유사한 효과를 지녔으며 활성화 시 전자전 공격에 대한 면역과 막대한 방어력을 획득합니다. \\ | >머라우더는 첨단 기술의 집합체로 적대적인 지역에서의 장기간 임무 수행이 가능합니다. 공수양방에서 위력적인 능력을 지닌 함선이며 이례적으로 바스티온 모듈의 탑재가 가능합니다. 바스티온 모듈은 재구성 기술과 유사한 효과를 지녔으며 활성화 시 전자전 공격에 대한 면역과 막대한 방어력을 획득합니다. \\ | ||
줄 767: | 줄 770: | ||
>바운들리스 크리에이션의 함선은 화력의 다다익선을 추구하는 브루터 부족의 전투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공격력을 실현하기 위해 방어 및 전자전 시스템에 대한 투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바운들리스 크리에이션의 함선은 화력의 다다익선을 추구하는 브루터 부족의 전투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공격력을 실현하기 위해 방어 및 전자전 시스템에 대한 투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
- | 민마타 미셔너들의 마지막 종착역이다. 빠르게 치고 빠지는 엔젤의 마카리엘 대신 묵직한 안정성을 원한다면 이 배를 선택하게 된다. 한글화 이전부터 이브를 즐겨오던 유저들은 바거로 읽는다.\\ | + | 아름다운 외형을 가진 민마타 미셔너들의 마지막 종착역. 빠르게 치고 빠지는 엔젤의 마카리엘 대신 묵직한 안정성을 원한다면 이 배를 선택하게 된다. 한글화 이전부터 이브를 즐겨오던 유저들은 바거로 읽는다.\\ |
프로젝타일 건 중에서도 바르거는 답답한 아틸러리 대신 오토캐논을 주로 사용한다. 연사력, 최대 사거리, 터렛의 추적능력에 보너스를 많이 받는 덕분에 트래킹 컴퓨터 모듈을 장착하면 단거리 탄 기준으로 60 km 언저리의 중거리까지 커버할 수 있다. 단, 최적 사거리는 함선 보너스로는 보정을 받지 않아 10 km 전후에 머무르기 때문에 표기상의 DPS와 실제 공격력과는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인다.\\ | 프로젝타일 건 중에서도 바르거는 답답한 아틸러리 대신 오토캐논을 주로 사용한다. 연사력, 최대 사거리, 터렛의 추적능력에 보너스를 많이 받는 덕분에 트래킹 컴퓨터 모듈을 장착하면 단거리 탄 기준으로 60 km 언저리의 중거리까지 커버할 수 있다. 단, 최적 사거리는 함선 보너스로는 보정을 받지 않아 10 km 전후에 머무르기 때문에 표기상의 DPS와 실제 공격력과는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인다.\\ | ||
줄 976: | 줄 979: | ||
|**롤 보너스**\\ {{/timer/jumpfatigue.png?13px&nolink}}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90% 감소\\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icon:shipspec8.png?16&nolink}}카고 용량 5% 보너스\\ 이너시아 모디파이어 5% 보너스|| | |**롤 보너스**\\ {{/timer/jumpfatigue.png?13px&nolink}}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90% 감소\\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icon:shipspec8.png?16&nolink}}카고 용량 5% 보너스\\ 이너시아 모디파이어 5% 보너스|| | ||
+ | >레이쓰는 민마타 공화국에서 가장 오래된 운반선 중 하나입니다. 단순한 설계 덕분인지 오래동안 현역으로 활동했으나, 복잡한 움직임이 요구되는 작업에는 사실상 사용이 배제되고 있습니다. | ||
줄 989: | 줄 992: | ||
| @#999:<fc #fff>카고 4,500m3 / 플릿행어 50,000m3</fc> || | | @#999:<fc #fff>카고 4,500m3 / 플릿행어 50,000m3</fc> || | ||
|**롤 보너스**\\ {{/timer/jumpfatigue.png?13px&nolink}}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90% 감소\\ {{https://image.eveonline.com/Type/10998_32.png?16px&nolink}}워프 코어 강도 +2\\ [[/애프터버너]], [[/MWD]], 리페어, 모든 저항 모듈 오버로드 효과 100% 보너스\\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실드부스트량 7.5% 보너스\\ 이동속도 5% 보너스\\ **Transport 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icon:shipspec8.png?16&nolink}}플릿 행어 용량 5% 보너스\\ 모든 실드 저항 4% 보너스|| | |**롤 보너스**\\ {{/timer/jumpfatigue.png?13px&nolink}}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90% 감소\\ {{https://image.eveonline.com/Type/10998_32.png?16px&nolink}}워프 코어 강도 +2\\ [[/애프터버너]], [[/MWD]], 리페어, 모든 저항 모듈 오버로드 효과 100% 보너스\\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실드부스트량 7.5% 보너스\\ 이동속도 5% 보너스\\ **Transport 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icon:shipspec8.png?16&nolink}}플릿 행어 용량 5% 보너스\\ 모든 실드 저항 4% 보너스|| | ||
+ | |||
+ | >개발사: 터커 조합 \\ | ||
+ | >딥스페이스 트랜스포터는 무법지대에서의 운용을 위해 설계된 함선입니다. 일반적인 인더스트리얼과는 차원이 다른 방어 시스템을 탑재하여 대규모 화물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함급 가운데 가장 느린 비행속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
=== - Prowler === | === - Prowler === | ||
줄 998: | 줄 1004: | ||
| @#999:<fc #fff>카고 3,500m3</fc> || | | @#999:<fc #fff>카고 3,500m3</fc> || | ||
|**롤 보너스**\\ {{/timer/jumpfatigue.png?13px&nolink}}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90% 감소\\ 코버트 옵스 클로킹 디바이스, 코버트 사이노 필드 제네레이터 사용 가능.\\ 재클로킹 딜레이 5초로 감소\\ 카고 스캐너 면역\\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icon:shipspec8.png?16&nolink}}카고 용량 5% 보너스\\ 이동속도 5% 보너스\\ **Transport 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https://image.eveonline.com/Type/33981_32.png?16px&nolink}}워프 속도 5% 보너스\\ 클로킹 디바이스 CPU 소모량 20% 감소|| | |**롤 보너스**\\ {{/timer/jumpfatigue.png?13px&nolink}}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90% 감소\\ 코버트 옵스 클로킹 디바이스, 코버트 사이노 필드 제네레이터 사용 가능.\\ 재클로킹 딜레이 5초로 감소\\ 카고 스캐너 면역\\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icon:shipspec8.png?16&nolink}}카고 용량 5% 보너스\\ 이동속도 5% 보너스\\ **Transport 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https://image.eveonline.com/Type/33981_32.png?16px&nolink}}워프 속도 5% 보너스\\ 클로킹 디바이스 CPU 소모량 20% 감소|| | ||
+ | |||
+ | >개발사: 코어 컴플렉션 \\ | ||
+ | >블록케이드 러너는 인더스트리얼 중 가장 빠른 비행 속도를 가졌습니다. 가볍지만 견고한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화물실 용량을 희생함으로써 크루저를 뛰어넘는 비행 속도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또한 뛰어난 방어체계를 바탕으로 값비싼 화물을 싣고 적대적 지역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 ||
+ | |||
===== - 프레이터 ===== | ===== - 프레이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