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 Players

ship:edenco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ship:edencom [2021/02/21 11:06]
구미양 [2.1. Stormbringer]
ship:edencom [2024/06/13 02:16] (현재)
Funzinnu [4.2.1. Deluge]
줄 1: 줄 1:
 {{page>​wiki:​틀#​함선목록}} {{page>​wiki:​틀#​함선목록}}
  
 + 
 ====== 함선/​EDENCOM ====== ====== 함선/​EDENCOM ======
-EDENCOM 함선의 특징.\\  ​+EDENCOM 함선의 특징. ​Upwell 화물선의 특징은 완전히 다르므로 참고에 주의하자
  
   * **{{:​icon:​shipspec1.png?​32}}외형**   * **{{:​icon:​shipspec1.png?​32}}외형**
줄 11: 줄 11:
   * **{{:​icon:​shipspec2.png?​32}}공격**   * **{{:​icon:​shipspec2.png?​32}}공격**
     * [[/​ship/​triglavian]]처럼 전용 무기인 Vorton Projector를 사용한다.     * [[/​ship/​triglavian]]처럼 전용 무기인 Vorton Projector를 사용한다.
-    * Vorton Projector는 최초 피격대상의 10km 이내에 있는 대상을 추가적으로 공격한다. 총 5번 공격이 튕긴다.+    * Vorton Projector는 최초 피격대상의 10km 이내에 있는 대상을 추가적으로 공격한다. 총 10번 공격이 튕긴다.
     * 미사일 대미지 공식을 따른다. 그리고 Entropic Disintegrator처럼 옵티멀 사거리만 존재한다.     * 미사일 대미지 공식을 따른다. 그리고 Entropic Disintegrator처럼 옵티멀 사거리만 존재한다.
 +    * 화물선들은 일반적인 미사일을 사용한다. ​
  
   * **{{:​icon:​shipspec4.png?​32}}방어**   * **{{:​icon:​shipspec4.png?​32}}방어**
줄 23: 줄 24:
  
   * **{{:​icon:​shipspec5.png?​32}}캐퍼시터**   * **{{:​icon:​shipspec5.png?​32}}캐퍼시터**
-    * 캐퍼시터가 모자르다고 생각될 정도는 아닌, 넉넉한 편.+    * 캐퍼시터가 모자르다고 생각될 정도는 아닌 ​정도.
  
   * **{{:​스킬:​book_32.png?​32}}스킬**   * **{{:​스킬:​book_32.png?​32}}스킬**
-    * EDENCOM 전용 함선 스킬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전용 무기인 보트론 프로젝터 스킬도 쳐야하므로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스킬이 꽤나 되는 편. +    * EDENCOM 전용 함선 스킬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전용 무기인 보트론 프로젝터 스킬도 쳐야한다. 게다가 보르톤 프젝터라는 고유 무기는 어떠한 무기 교양 스킬들도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스킬이 ​많은 편.
-    * 어떠한 무기 교양 스킬들도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EDENCOM 관련 교양 ​스킬이 영향을 미친다.+
  
-트리글라비안 함선이 유틸성을 가져서 다양한 상황에 대처가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면, EDENCOM 함선은 특정 상황에서만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Vorton Projector 특성 상 최대 ​5명에게 공격이 튕기는데,​ 반대급부로 기본 DPS가 매우 낮게 책정되어 있다. 즉 다수의 대상을 공격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면 표기상 DPS도, 실질 DPS도 뚝 떨어진다.+트리글라비안 함선이 유틸성을 가져서 다양한 상황에 대처가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면, EDENCOM 함선은 특정 상황에서만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Vorton Projector 특성 상 최대 ​10명에게 공격이 튕기는데(( 기존에는 5타겟이였지만 버프로 10타겟으로 바뀌었다)), 반대급부로 기본 DPS가 매우 낮게 책정되어 있다. 즉 다수의 대상을 공격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면 표기상 DPS도, 실질 DPS도 뚝 떨어진다.
  
-무엇보다 Vorton Projector 무기의 공격이 아군을 가리지 않는다는 점. 자신의 아군, 드론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보이지도 않는 어비셜 이펙트 같은 것에도 튕긴다. 때문에 ​5대상에게 공격을 명중시킬 수 있는 환경이여도 다양한 변수에 의해 실제로는 전부 맞지도 않는다.+무엇보다 Vorton Projector 무기의 공격이 아군을 가리지 않는다는 점. 자신의 아군, 드론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보이지도 않는 어비셜 이펙트 같은 것에도 튕긴다. 때문에 ​10대상에게 공격을 명중시킬 수 있는 환경이여도 다양한 변수에 의해 실제로 전부 맞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렇기에 Vorton Projector 특유의 넉넉한 사거리와 기본 탱킹을 잘 이용해야 한다. 아군의 적절한 서포트를 받으면서 초장거리에서 저격을 하는 EDENCOM 함선은 로지스틱스 입장에서 매우 까다로워진다. 그렇다고 탱킹이 약한것도 아니라 화력을 집중해도 버티는 시간이 길기에 타겟을 부르기도 애매하고...+때문에 Vorton Projector 특유의 넉넉한 사거리와 ​함선의 ​기본 탱킹을 잘 이용해야 한다. 아군의 적절한 서포트를 받으면서 초장거리에서 저격을 하는 EDENCOM 함선은 로지스틱스 입장에서 매우 까다로워진다. 그렇다고 탱킹이 약한것도 아니라 화력을 집중해도 버티는 시간이 길기에 타겟을 부르기도 애매하고...
  
-다만 ​장점들에 비해 ​단점이 너무 많기에 ​현재 ​EDENCOM 함선에 대한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다. 드론을 꺼내서 화력을 흘리거나 아니면 아예 근접전을 벌여서 팀킬(...)을 하게 만들수도 있는 ​둥 나사빠진 부분이 ​너무 많다는 ​. 특별히 조성된 환경에서 ​제 화력을 ​낸다지만 솔직히 그 정도로 유한 환경이면 ​다른 함선을 ​쓰는게 더 효율이 좋다... 까다롭다는 것도 자꾸 앵앵거리니 귀찮다는것 뿐, 화력이 좋지 않기에 그렇게 위협적이지는 않다. +장점은 어느정도 있으나 ​단점도 명확하기에 EDENCOM 함선의 사용처는 상당히 제한된.드론쉽을 때려잡거나,​ 어비셜 정도. 드론을 꺼내서 화력을 흘리거나 아니면 아예 근접전을 벌여서 팀킬(...)을 하게 만들수도 있는 ​등 나사빠진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제대로 ​수의 타겟을 공격하기 위해서는 공격하는 대상의 위치나 아군의 포지션을 잘 판별할 필요성이 있다. 특별히 조성된 환경에서는 상당한 ​화력을 ​낼 수 있으나, 잠재성을 끌어올기 위해서는 ​다른 함선을 ​사용할때 잘 보지 않던 요소들까지 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예를 들어 ​에서는 일부러 자신의 MTU를 공격하여 화력 손실을 줄, 특정 장소에 리 앵커된 구조물을 공격하여 상대적으로 아크 체인 범위를 늘리도록 유도하는 센스 있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
- +
-그리고 무엇보다 ​어가는 비용이 너무 많다. 인베이전 컨텐츠로 재료가 수급되는 특성 상 얻기가 ​다롭, 교환 / 생산에 ​필요한 재료도 너무 많이 필요하다.(( ​이는 인베이전 컨텐츠가 종료된 탓도 있다. ​전처럼 재료를 다량 수급하기가 힘들어졌기 때문 )) 오죽하면 피팅에서 ​탄약값만 수백밀이나 ​들어갈 ​도.(( 이전는 더 심해서 탄약 1발 당 1밀을 찍어버는 기염을 토했다. 다행히 패치로 인해 현재는 그나마 싸졌..는게 저정도 ​)) 때문에 현재는 매우 적은 사용량을 보이고 있다.+
  
 +함선을 세팅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하다. 인베이전 - 포치벤 컨텐츠로 재료가 수급되는 특성 상 얻기가 까다롭고,​ 교환 / 생산에 필요한 과정도 세세하게 늘어놓으면 상당히 복잡하다.(( 이는 인베이전 컨텐츠가 종료된 탓도 있다. 예전처럼 재료를 다량 수급하기가 힘들어졌기 때문 )) 오죽하면 피팅비용에서 탄약값만 수십밀이 기본으로 들어갈 정도.(( 이전에는 더 심해서 탄약 1발 당 1밀을 찍어버리는 기염을 토했다. 다행히 패치로 인해 현재는 그나마 싸졌으나,​ 적은 수요와 공급으로 인해 셀가와 바이가의 격차가 매우 심한 경향을 보인다.)) 때문에 현재는 그리 많은 사용량을 보이지는 않는다.
  
 +화물선은 유저가 직접 운영할 수 있는 거대 구조물인 [[/​upwell_structure]]를 만든 [[/​upwell_consortium]]에서 출시한 제품들이다. 인프라스트럭처 홀드라는 전용 카고가 달려있는데,​ 여기에는 시타델 및 플렉스 스트럭처,​ 스트럭처 모듈, 서비스 모듈, 연료 관련 품목, 달 자원, 행성 원자재 같은것들을 넣을 수 있다.
 ===== - 프리깃 ===== ===== - 프리깃 =====
 ==== - Skybreaker ==== ==== - Skybreaker ====
줄 47: 줄 47:
 |  @#​131d27:​{{:​스몰.png}}{{:​컴뱃.png}}{{:​실드.png}}{{:​보르톤.png}} ​ || |  @#​131d27:​{{:​스몰.png}}{{:​컴뱃.png}}{{:​실드.png}}{{:​보르톤.png}} ​ ||
 |  @#​555:<​fc #fff>1 High  / 4 Medium ​ / 3 Low</​fc> ​ |  @#​555:<​fc #fff>1 Turret</​fc> ​ | |  @#​555:<​fc #fff>1 High  / 4 Medium ​ / 3 Low</​fc> ​ |  @#​555:<​fc #fff>1 Turret</​fc> ​ |
-|**EDENCOM Frigate 보너스 (레벨당)**\\ ​  5% 보너스 스몰 ​업웰 웨폰 ​대미지 \\   6% 보너스 실드 모든 저항|| +|**EDENCOM Frigate 보너스 (레벨당)**\\ ​  5% 보너스 스몰 ​보르톤 프로젝터 ​대미지 \\   6% 보너스 실드 모든 저항|| 
-|@#​f9f9f9:​ \\ ​ 스카이브레이커 급 리깃은 EDENCOM이 트리글라비안 대응 조직일 때부터 그들의 요청으로 ​업웰 컨소서 위탁 생산되었다. YC122에 ​EDENCOM이 ​공식적으로 ​뉴 에덴 방를 위한 ​중심 기구가 ​된 후, 업웰 연구 시설에 대한 ​트리글라비안의 습격에 대항기 위한 새로운 ​무기 ​체계를 갖춘 배들이 개발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 \\  ​킵스타 시타델의 방어에 사용되는 ​보르톤 프로젝터 기술의 ​성공을 바탕으로업웰 컨소시은 이를 함선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다. ​YC121의 ​첫 트리글라비안 침공은 EDENCOM이 이 프젝트에 손을 대기 전부터 연를 더욱 채찍질했, 이를 네 제국의 ​과학자들과 ​공학자들, 심지어 SoCT와도 ​했다.\\ ​ \\  스카이브레이커 급 프리깃은 함대를 이루어 ​호위 ​업무를 수행하거나 ​을 역습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단단한 실드와 고출력 ​보르톤 프로젝터로 무장한 이 작고 빠른 배는 ​어떤 전투에서든지 역습에 자주 쓰일 것이다.\\      ||+|@#f9f9f9:++공식 설명 보기| 
 + \\  ​업웰 컨소시엄이 설계한 ​스카이브레이커급 ​리깃으로 ​헌병 사령관 캐하 발카니르가 EDENCOM을 본격적으로 이끌기 전에 제작이 이루어졌습니다. YC 122년, ​EDENCOM이 뉴에덴 방를 위한 ​총사령부로 지정된 후, 트리글라비안이 업웰 개발 시설을 ​습격하면서 강력한 무기를 ​장착할 수 있는 함선이 개발되고 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습니다.\\ ​ \\  ​아크 ​보르톤 프로젝터가 키프스타 시타델에서 대함 무로써 ​성공으로 ​자리 잡게 되자 ​업웰 컨소시은 이를 함선에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YC 121년 중반기에 ​첫 트리글라비안 침공이 ​발발하자 EDENCOM은 중앙 사령부로 발탁되기 전이었음에도 불고 발빠르게 ​과학자 및 기술자들에게 4대 제국과 깨어있는 ​자들의 사회의 비밀 무기 개발 프로그램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하며 연구에 박차를 가습니다.\\ ​ \\  스카이브레이커급 ​함선은 호위를 ​으로 무리 지어 움직이는 대프리깃용 함선입니다. 견고한 실드와 고성능 아크 ​보르톤 프로젝터를 한 이 신속한 ​은 함선은 그 어떤 전투에서도 파괴적인 힘을 발휘합니다. ++  ​||
 |  @#131d27: || |  @#131d27: ||
  
  
  
 +아크 체인 최대 타겟이 늘어나는 버프 이후 하이섹 어노말리를 털거나, 함급 제한이 있는 이벤트 어노말리 등등에서 가끔 사용되는것이 보인다. 트리글라비안 함선과 같이 사용되면 궁합도 꽤 잘 맞는다.
  
  
줄 63: 줄 65:
 |  @#​131d27:​{{:​미디엄.png}}{{:​컴뱃.png}}{{:​실드.png}}{{:​보르톤.png}} ​ || |  @#​131d27:​{{:​미디엄.png}}{{:​컴뱃.png}}{{:​실드.png}}{{:​보르톤.png}} ​ ||
 |  @#​555:<​fc #fff>1 High  / 6 Medium ​ / 3 Low</​fc> ​ |  @#​555:<​fc #fff>1 Turret</​fc> ​ | |  @#​555:<​fc #fff>1 High  / 6 Medium ​ / 3 Low</​fc> ​ |  @#​555:<​fc #fff>1 Turret</​fc> ​ |
-|**EDENCOM Cruiser 보너스 (레벨당)**\\ ​  5% 보너스 ​미디움 업웰 웨폰 ​옵티멀 사거리 증가 \\   6% 보너스 실드 모든 저항|| +|**EDENCOM Cruiser 보너스 (레벨당)**\\ ​  5% 보너스 ​보르톤 프로젝터 ​옵티멀 사거리 증가 \\   6% 보너스 실드 모든 저항|| 
-|@#​f9f9f9:​ \\ ​ 스톰브링어 급 크루저는 EDENCOM이 트리글라비안 대응 조직일 때부터 그들의 요청으로 ​업웰 컨소시움서 위탁 생산되었다. YC122에 ​EDENCOM이 ​공식적으로 ​뉴 에덴 방를 위한 ​중심 기구가 ​된 후, 업웰 연구 시설에 대한 ​트리글라비안의 습격에 대항기 위한 새로운 ​무기 ​체계를 갖춘 배들이 개발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 \\  ​킵스타 시타델의 방어에 사용되는 ​보르톤 프로젝터 기술의 ​성공을 바탕으로업웰 컨소시은 이를 함선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다. ​YC121의 ​첫 트리글라비안 침공은 EDENCOM이 이 프젝트에 손을 대기 전부터 연를 더욱 채찍질했, 이를 네 제국의 ​과학자들과 ​공학자들, 심지어 SoCT와도 ​했다.\\ ​ \\  스톰브링어 급 크루저는 ​단단한 실드를 가졌으며,​ 원거리에서 정확히 조율된 보르톤 프로젝터로 적들을 타할 수 있다. 빠른 반을 요구하는 상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이 크루저는 ​EDENCOM의 함대에 유연성을 더해 준다.\\      ||+|@#f9f9f9:++공식 설명 보기| 
 + \\  ​업웰 컨소시엄이 설계한 ​스톰브링어급 크루저로 헌병 사령관 캐시하 발카니르가 ​EDENCOM을 본격적으로 ​이끌기 전에 제작이 이루어졌습니다. YC 122년, ​EDENCOM이 뉴에덴 방를 위한 ​총사령부로 지정된 후, 트리글라비안이 업웰 개발 시설을 ​습격하면서 강력한 무기를 ​장착할 수 있는 함선이 개발되고 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습니다.\\ ​ \\  ​아크 ​보르톤 프로젝터가 키프스타 시타델에서 대함 무로써 ​성공으로 ​자리 잡게 되자 ​업웰 컨소시은 이를 함선에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YC 121년 중반기에 ​첫 트리글라비안 침공이 ​발발하자 EDENCOM은 중앙 사령부로 발탁되기 전이었음에도 불고 발빠르게 ​과학자 및 기술자들에게 4대 제국과 깨어있는 ​자들의 사회의 비밀 무기 개발 프로그램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하며 연구에 박차를 가습니다.\\ ​ \\  ​견고한 실드를 갖춘 ​스톰브링어급 크루저는 ​최적화된 아크 ​보르톤 프로젝터를 통해 장거리에서 강력한 공을 가합니다. 신속한 대함대를 ​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이 크루저는 ​강력한 화력을 기반으로 전투에서 다양한 역할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  @#131d27: || |  @#131d27: ||
  
  
-사용량이 ​매우 ​적은 EDENCOM 함선들 중에서 ​그나마 ​사용처가 보이는 편. EDENCOM 함선 버프 패치로 인해 어느정도 대미지도 나오고 사거리, 탱킹등이 매우 넉넉하게 책정되어 있다.+사용량이 적은 EDENCOM 함선들 중에서 ​지속적인 ​사용처가 보이는 편. EDENCOM 함선 버프 패치로 인해 어느정도 대미지도 나오고 사거리, 탱킹등이 매우 넉넉하게 책정되어 있다.
  
-가끔씩 ​이 함선으로 어비셜 5티어를 도는 파일럿들도 있다. Vorton Projector의 잠재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어비셜에서 다수의 대상을 공격할 때 매우 좋은 클리어 효율이 나오기 때문. 상황에 따라 10분 이하로 클리어 할 때도 있다.+이 함선으로 어비셜 5 ~ 6티어를 도는 파일럿들도 있다. Vorton Projector의 잠재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어비셜에서 다수의 대상을 공격할 때 매우 좋은 클리어 효율이 나오기 때문. 상황에 따라 10분 이하로 클리어 할 때도 있다.
  
 다만, 다수의 대상을 공격할 수 없으면 효율이 급감하는 특성은 그대로여서 DPS와 탱킹이 한 대상한테 몰려진 드리프터 배틀쉽, 오버마인드 포켓에서 시간이 너무 오래 끌린다는게 단점. 여차할때는 오버로드라도 계속 땡겨야 시간초과로 인한 뿜을 면할 정도이다. 즉 포켓운빨에 모든것이 달려있다. 다만, 다수의 대상을 공격할 수 없으면 효율이 급감하는 특성은 그대로여서 DPS와 탱킹이 한 대상한테 몰려진 드리프터 배틀쉽, 오버마인드 포켓에서 시간이 너무 오래 끌린다는게 단점. 여차할때는 오버로드라도 계속 땡겨야 시간초과로 인한 뿜을 면할 정도이다. 즉 포켓운빨에 모든것이 달려있다.
- 
-때문에 5티어를 제외한 다른 티어에서는 쓰이지도 않는다. 4티어 이하는 공격할 대상이 적어서 효율이 나오지 않고, 6티어는 시간초과로 뿜할 확률이 너무 높아서... 
  
  
줄 86: 줄 87:
 |  @#​555:<​fc #fff>2 High / 7 Medium / 5 Low</​fc> ​ |  @#​555:<​fc #fff>1 Turret / Drone 25, 25</​fc> ​ | |  @#​555:<​fc #fff>2 High / 7 Medium / 5 Low</​fc> ​ |  @#​555:<​fc #fff>1 Turret / Drone 25, 25</​fc> ​ |
 |**EDENCOM Battleship 보너스 (레벨당)**\\ ​  5% 보너스 라지 업웰 웨폰 대미지\\ ​  5% 보너스 라지 업웰 웨폰 연사속도 || |**EDENCOM Battleship 보너스 (레벨당)**\\ ​  5% 보너스 라지 업웰 웨폰 대미지\\ ​  5% 보너스 라지 업웰 웨폰 연사속도 ||
-|@#​f9f9f9:​ \\ ​ 썬더차일드 급 배틀쉽은 ​EDENCOM이 트리글라비안 대응 조직일 때부터 그들의 요청으로 ​업웰 컨소시움서 위탁 생산되었다. YC122에 ​EDENCOM이 ​공식적으로 ​뉴 에덴 방를 위한 ​중심 기구가 ​된 후, 업웰 연구 시설에 대한 ​트리글라비안의 습격에 대항기 위한 새로운 ​무기 ​체계를 갖춘 배들이 개발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 \\  ​킵스타 시타델의 방어에 사용되는 ​보르톤 프로젝터 기술의 ​성공을 바탕으로업웰 컨소시은 이를 함선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다. ​YC121의 ​첫 트리글라비안 침공은 EDENCOM이 이 프젝트에 손을 대기 전부터 연를 더욱 채찍질했, 이를 네 제국의 ​과학자들과 ​공학자들, 심지어 SoCT와도 ​했다.\\ ​ \\  썬더차일드 급 배틀쉽은 트리글라비안 함대에 대항하는 EDENCOM의 주력 함선으로 디자인되었다. 이 강력한 전함은 고출력, 고속 충전 ​보르톤 프로젝터로 적 함대에 ​로 된 폭풍을 일으키며,​ 낼 수 있는 ​최대한의 ​화력을 내도록 ​설계되었다.\\      ||+|@#f9f9f9:++공식 설명 보기| 
 + \\  ​업웰 컨소시엄이 설계한 ​썬더차일드급 배틀크루저로 헌병 사령관 캐시하 발카니르가 ​EDENCOM을 본격적으로 ​이끌기 전에 제작이 이루어졌습니다. YC 122년, ​EDENCOM이 뉴에덴 방를 위한 ​총사령부로 지정된 후, 트리글라비안이 업웰 개발 시설을 ​습격하면서 강력한 무기를 ​장착할 수 있는 함선이 개발되고 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습니다.\\ ​ \\  ​아크 ​보르톤 프로젝터가 키프스타 시타델에서 대함 무로써 ​성공으로 ​자리 잡게 되자 ​업웰 컨소시은 이를 함선에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YC 121년 중반기에 ​첫 트리글라비안 침공이 ​발발하자 EDENCOM은 중앙 사령부로 발탁되기 전이었음에도 불고 발빠르게 ​과학자 및 기술자들에게 4대 제국과 깨어있는 ​자들의 사회의 비밀 무기 개발 프로그램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하며 연구에 박차를 가습니다.\\ ​ \\  썬더차일드급 ​함선은 트리글라비안 함대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의 배틀쉽입니다. 아크 ​보르톤 프로젝터는 신속한 장전 속도로 최대 화력을 내도록 ​개발된 고성능 무기로 적 함대에 강력한 광범위 공격을 선사합니다. ++  ​||
 |  @#131d27: || |  @#131d27: ||
 +
 +널섹이나 특정 어노말리에서 랫질을 할 때 가끔씩 보인다. 가성비는 나쁘지만 틱 당 수익은 괜찮은 편이라 카더라...
 +
 +
 +
 +
 +===== - 하울러 =====
 +==== - T1 ====
 +=== - Squall ===
 +|<100% 50% 50%>|
 +|  @#​131d27:​**<​fc #​fff><​fs medium>​Squall</​fs>​\\ ​ <fc #​999>​스콜</​fc></​fc>​** ​ ||
 +|  @#​131d27:​{{:​ship:​uw_1.jpg}} ​ ||
 +|  @#​131d27:​{{:​미디엄.png?​30&​nolink}}{{:​운송.png?​30&​nolink}}{{:​실드.png?​30&​nolink}}{{:​미사일.png?​30&​nolink}} ​ ||
 +|  @#​555:<​fc #fff>4 High  / 5 Medium ​ / 3 Low</​fc> ​ |  @#​555:<​fc #fff>3 Launcher</​fc> ​ |
 +|  @#​999:<​fc #​fff>​카고 3,900 m3 /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67,500 m3</​fc> ​ ||
 +|**롤 보너스**\\ ​  {{/​timer/​jumpfatigue.png?​16px&​nolink}} 90% 감소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  {{https://​image.eveonline.com/​Type/​501_32.png?​16px&​nolink}} 90% 감소 헤비 미사일, 헤비 어설트 미사일, 래피드 라이트 미사일 런처 CPU, 파워그리드 소모량 감소\\ ​  {{https://​image.eveonline.com/​Render/​81933_32.png?​16px&​nolink}} 함선 제한을 우회하여 ​ [[/Orbital Skyhook]] Reagent 사일로와 연결 가능\\ ​ **Upwell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  {{icon:​shipspec8.png?​16&​nolink}} 10% 보너스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용량\\ ​  {{https://​image.eveonline.com/​Type/​10629_32.png?​16px&​nolink}} 20% 보너스 미사일 대미지||
 +
 +==== - T2 ====
 +=== - Deluge ===
 +|<100% 50% 50%>|
 +|  @#​131d27:​{{:​t2.png?​16&​nolink}} **<fc #​fff><​fs medium>​Deluge </fs>  \\  <fc #​999>​들루지</​fc></​fc>​** ​ ||
 +|  @#​131d27:​{{:​ship:​up_2.jpg}} ​ ||
 +|  @#​131d27:​{{:​미디엄.png?​30&​nolink}}{{:​운송.png?​30&​nolink}}{{:​실드.png?​30&​nolink}}{{:​미사일.png?​30&​nolink}} ​ ||
 +|  @#​555:<​fc #fff>4 High  / 4 Medium ​ / 2 Low</​fc> ​ |  @#​555:<​fc #fff>3 Launcher</​fc> ​ |
 +|  @#​999:<​fc #​fff>​카고 4,300 m3 /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30,000 m3</​fc> ​ ||
 +|**롤 보너스**\\ ​  {{/​timer/​jumpfatigue.png?​16px&​nolink}} 90% 감소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  {{https://​image.eveonline.com/​Type/​501_32.png?​16px&​nolink}} 90% 감소 헤비 미사일, 헤비 어설트 미사일, 래피드 라이트 미사일 런처 CPU, 파워그리드 소모량 감소\\ ​  {{https://​image.eveonline.com/​Render/​81933_32.png?​16px&​nolink}} 함선 제한을 우회하여 ​ [[/Orbital Skyhook]] Reagent 사일로와 연결 가능\\ ​  {{https://​image.eveonline.com/​Type/​11578_32.png?​16px&​nolink}} [[/​코버트옵스 클로킹|코버트옵스 클로킹 디바이스]],​ {{https://​image.eveonline.com/​Type/​28646_32.png?​16px&​nolink}}[[/​코버트 사이노필드|코버트 사이노필드 제네레이터]] 사용 가능.\\ ​  {{https://​image.eveonline.com/​Type/​11370_32.png?​16px&​nolink}} [[/​클로킹]] 딜레이 5초로 감소\\ ​  카고 스캐너 면역\\ ​ **Upwell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  {{icon:​shipspec8.png?​16&​nolink}} 10% 보너스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용량\\ ​  {{https://​image.eveonline.com/​Type/​10629_32.png?​16px&​nolink}} 25% 보너스 미사일 대미지\\ ​ **Transport 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  {{https://​image.eveonline.com/​Type/​33981_32.png?​16px&​nolink}} 5% 보너스 워프 속도\\ ​  {{https://​image.eveonline.com/​Type/​11370_32.png?​16px&​nolink}} 20% 감소 [[/​클로킹|클로킹 디바이스]] CPU 소모량||
 +
 +
 +
 +클로킹이 가능한 블록케이트 러너. 빠른 워프 속도와 기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카고 스캐너 면역
 +
 +=== - Torrent ===
 +|<100% 50% 50%>|
 +|  @#​131d27:​{{:​t2.png}} **<fc #​fff><​fs medium>​Torrent </fs>  \\  <fc #​999>​토렌트</​fc></​fc>​** ​ ||
 +|  @#​131d27:​{{:​ship:​up_21.jpg}} ​ ||
 +|  @#​131d27:​{{:​미디엄.png}}{{:​운송.png}}{{:​미사일.png}}{{:​실드.png}} ​ ||
 +|  @#​555555:<​fc #​ffffff>​4 High  / 6 Medium ​ / 3 Low</​fc> ​ |  @#​555555:<​fc #​ffffff>​3 Missle</​fc> ​ |
 +|  @#​999999:<​fc #​ffffff>​카고 3,000 m3 / 플릿행어 37,500 m3 /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90,000 m3</​fc> ​ ||
 +|**롤 보너스**\\ ​  {{/​timer/​jumpfatigue.png?​16px&​nolink}} 90% 감소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  {{https://​image.eveonline.com/​Type/​501_32.png?​16px&​nolink}} 90% 감소 헤비 미사일, 헤비 어설트 미사일, 래피드 라이트 미사일 런처 CPU, 파워그리드 소모량 감소\\ ​  {{https://​image.eveonline.com/​Type/​10998_32.png?​16px&​nolink}} 2+ 워프 코어 강도\\ ​  {{https://​image.eveonline.com/​Type/​439_32.png?​16px&​nolink}} [[/​애프터버너]],​ {{https://​image.eveonline.com/​Type/​434_32.png?​16px&​nolink}} [[/​마이크로워프드라이브]],​ 리페어, 모든 저항 모듈, [[/​노스페라투]],​ [[/​뉴트럴라이저]] [[/​오버로드]] 효과 100% 보너스\\ ​  {{https://​image.eveonline.com/​Render/​81933_32.png?​16px&​nolink}} 함선 제한을 우회하여 ​ [[/Orbital Skyhook]] Reagent 사일로와 연결 가능\\ ​ **Upwell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  {{icon:​shipspec8.png?​16&​nolink}} 10% 보너스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용량\\ ​  {{https://​image.eveonline.com/​Type/​10629_32.png?​16px&​nolink}} 25% 보너스 미사일 대미지\\ ​ **Transport 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  {{icon:​shipspec8.png?​16&​nolink}} 5% 보너스 플릿 행어 용량\\ ​  {{/​icon:​shipspec4.png?​16px&​nolink}} 4% 보너스 실드 저항 ||
 +
 +
 +딥스페이스 트랜스포터(DST). 여타 DST에 달려있는 기동성모듈과 저항모듈 오버로드 보너스에 더해 노스페라투와 뉴트럴라이저까지 오버로드 보너스가 달려있다. 유틸 하이슬롯이 하나 남으므로 인터딕션 널리파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
 +
 +|**롤 보너스**\\ ​  {{/​timer/​jumpfatigue.png?​16px&​nolink}} 90% 감소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 - 프레이터 =====
 +==== - Avalanche ====
 +|<100% 50% 50%>|
 +|  @#​131d27:​**<​fc #​fff><​fs medium>​Avalanche</​fs>​\\ ​ <fc #​999>​아발란체</​fc></​fc>​** ​ ||
 +|  @#​131d27:​{{:​ship:​up_3.jpg}} ​ ||
 +|  @#​131d27:​{{:​엑스라지.png?​30&​nolink}}{{:​운송.png?​30&​nolink}}{{:​미사일.png?​30&​nolink}} ​ ||
 +|  @#​555:<​fc #fff>6 High  / 3 Medium ​ / 3 Low</​fc> ​ |  @#​555555:<​fc #​ffffff>​6 Missile</​fc> ​ |
 +|  @#​999:<​fc #​fff>​카고 265,000 m3 /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2,000,000 m3</​fc> ​ ||
 +|**롤 보너스**\\ ​  {{/​timer/​jumpfatigue.png?​16px&​nolink}} 90% 감소 [[/​점프드라이브]]시 점프피로도 시간\\ ​  {{https://​image.eveonline.com/​Type/​41516_32.png?​16px&​nolink}} 90% 감소 캐피탈 플렉스 실드 하드너 캐퍼시터,​ 파워그리드 소모량\\ ​  {{https://​image.eveonline.com/​Type/​11370_32.png?​16px&​nolink}} [[/​클로킹|클로킹 디바이스]] <fc #​f00>​사용 불가</​fc>​\\ ​  {{https://​image.eveonline.com/​Render/​81933_32.png?​16px&​nolink}} 함선 제한을 우회하여 ​ [[/Orbital Skyhook]] Reagent 사일로와 연결 가능\\ ​ **Upwell Freight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icon:​shipspec8.png?​16&​nolink}} 10% 보너스 인프라스트럭처 홀드 용량\\ ​  {{https://​image.eveonline.com/​Type/​10629_32.png?​16px&​nolink}} 10% 보너스 미사일 대미지\\ ​  {{https://​image.eveonline.com/​Type/​10629_32.png?​16px&​nolink}} 20% 보너스 오토타게팅 미사일 대미지 ||
 +
 +
 +대량의 인프라스트럭처 자원을 옮길 수 있는 프레이터. 특징으로 미사일 대미지 보너스에 추가로 오토타게팅 미사일 대미지 보너스가 달려있어 최대 오토타게팅 미사일 대미지가 3배까지 올라간다. 미드 슬롯이 있으므로 [[/MWD]]를 달 수 있다.
 +
 +
 +
  
  
  
ship/edencom.161387318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2/21 11:06 저자 구미양




Copyright ⓒ 2013-2019 Funzinnu All rights reserved. / Documentations under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 Open sources are copyright of their respective owners. EVE Online and the EVE logo are the registered trademarks of CCP hf. All rights are reserved worldwide. All other trademarks are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EVE Online, the EVE logo, EVE and all associated logos and designs are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CCP hf. All artwork, screenshots, characters, vehicles, storylines, world facts or other recognizable feature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elating to these trademarks are likewise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CCP hf. CCP hf. has granted permission to Funzinnu to use EVE Online and all associated logos and designs for promotional and information purposes on its website but does not endorse, and is not in any way affiliated with, Funzinnu. CCP is in no way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n or functioning of this website, nor can it be liable for any damage arising from the use of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