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클로킹_트릭 [2018/02/19 13:42] Funzinnu [1. 사용 방법] |
클로킹_트릭 [2018/07/29 14:41] (현재) wild_k [1. 사용 방법] |
||
---|---|---|---|
줄 5: | 줄 5: | ||
- | ==== - 사용 방법 ==== | + | ===== - 사용 방법 ===== |
게이트 점프를 하고 [[/게이트 캠핑]]을 마주했을 때 마웦클락 기술은 다음의 일련과정을 따른다 | 게이트 점프를 하고 [[/게이트 캠핑]]을 마주했을 때 마웦클락 기술은 다음의 일련과정을 따른다 | ||
줄 13: | 줄 13: | ||
- 바로 마웦을 키며, 이때 가능하면 [[/오버로드]]를 누르고 모듈을 킨다 | - 바로 마웦을 키며, 이때 가능하면 [[/오버로드]]를 누르고 모듈을 킨다 | ||
- 마웦을 바로 다시 끈다 | - 마웦을 바로 다시 끈다 | ||
- | - 마웦 사이클이 끝나기 직전에 클락을 푼다 | + | - 마웦 사이클이 끝나자 마자 클로킹을 끈다. |
- 오브젝트로 워프를 한다 | - 오브젝트로 워프를 한다 | ||
줄 19: | 줄 19: | ||
*<wrap lo>항상 클락을 먼저 하도록 한다. 보통 클락 상태에서는 모듈을 사용할 수 없지만, 클락 직후 1~2초 간은 모듈 사용이 가능하다.</wrap> | *<wrap lo>항상 클락을 먼저 하도록 한다. 보통 클락 상태에서는 모듈을 사용할 수 없지만, 클락 직후 1~2초 간은 모듈 사용이 가능하다.</wrap> | ||
- | ==== - 작동 원리 ==== | + | ===== - 작동 원리 ===== |
위의 과정을 따를때 [[/클락]]을 풀고 워프를 누르자마자 함선은 바로 워프를 하게된다. 실질적으로 얼라인한 시간은 [[/MWD]] 사이클이 돌고 있던 10초지만, 상대가 나를 락온 가능한 시간은 처음에 클락하기 직전에 0.X초랑, 클락 풀고 워프인하기까지의 0.X초뿐이며 이 시간동안에는 무슨 수를 써도 타게팅이 불가능하다. | 위의 과정을 따를때 [[/클락]]을 풀고 워프를 누르자마자 함선은 바로 워프를 하게된다. 실질적으로 얼라인한 시간은 [[/MWD]] 사이클이 돌고 있던 10초지만, 상대가 나를 락온 가능한 시간은 처음에 클락하기 직전에 0.X초랑, 클락 풀고 워프인하기까지의 0.X초뿐이며 이 시간동안에는 무슨 수를 써도 타게팅이 불가능하다. | ||
줄 30: | 줄 30: | ||
단, [[/MWD]] 사이클이 끝났는데 여전히 [[/클락]] 중이라면 현재 속도를 급격하게 잃을 것이고 바로 워프가 불가능할 수가 있다. 또한, 질량이 커서 얼라인 시간이 긴 아머 배쉽이나 캐피탈들은 속도가 충분하지 못해 바로 워프는 못하고, 얼라인 노출시간을 줄이는 정도의 효과밖에 보지 못할 것이다. | 단, [[/MWD]] 사이클이 끝났는데 여전히 [[/클락]] 중이라면 현재 속도를 급격하게 잃을 것이고 바로 워프가 불가능할 수가 있다. 또한, 질량이 커서 얼라인 시간이 긴 아머 배쉽이나 캐피탈들은 속도가 충분하지 못해 바로 워프는 못하고, 얼라인 노출시간을 줄이는 정도의 효과밖에 보지 못할 것이다. | ||
- | ==== - 응용 ==== | + | ===== - 응용 ===== |
- | === - 앱번클락워프 === | + | ==== - 앱번클락워프 ==== |
*프로펄전 모듈이 [[/애프터버너]]인 경우 [[/애프터버너]]+[[/클락]] 상태의 워프 준비속도가 평상시 워프 준비속도에 못미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경우에도 여전히 최소한의 얼라인 시간으로 워프가 가능한 방법이 있다. [[/애프터버너]] 사이클이 끝나기 1초 정도 전에 클락을 푼다면, 약 1초간 함선은 [[/애프터버너]]+[[/클락]] 상태가 아닌 [[/애프터버너]]만 킨 상태가 되며, 그에 준하는 최고속도를 향해 가속을 하게 된다. 당연히 가속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며 어지간한 크루저들은 이 1초면 충분히 평상시 워프 준비속도를 얻고도 남는다. 아래는 시미타가 앱번클락을 사용하는 영상이다. <wrap lo>저렇게 이너샤가 3개씩이나 없어도 당연히 된다</wrap> | *프로펄전 모듈이 [[/애프터버너]]인 경우 [[/애프터버너]]+[[/클락]] 상태의 워프 준비속도가 평상시 워프 준비속도에 못미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경우에도 여전히 최소한의 얼라인 시간으로 워프가 가능한 방법이 있다. [[/애프터버너]] 사이클이 끝나기 1초 정도 전에 클락을 푼다면, 약 1초간 함선은 [[/애프터버너]]+[[/클락]] 상태가 아닌 [[/애프터버너]]만 킨 상태가 되며, 그에 준하는 최고속도를 향해 가속을 하게 된다. 당연히 가속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며 어지간한 크루저들은 이 1초면 충분히 평상시 워프 준비속도를 얻고도 남는다. 아래는 시미타가 앱번클락을 사용하는 영상이다. <wrap lo>저렇게 이너샤가 3개씩이나 없어도 당연히 된다</wrap>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WckcpS7IhL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WckcpS7IhL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T3DD 인스타워프 === | + | ==== - T3DD 인스타워프 ==== |
*T3DD는 프로펄전/샵슛/디펜스 3개의 모드로 변경이 가능한데, 팩션에 따른 보너스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프로펄전 모드에서의 최고속도는 다른 모드일때보다 훨씬 크다. 이 차이를 이용해 프로펄전 모드에서 워프 돌입을 하고 바로 다른 모드로 전환하여 얼라인 시간을 큰 폭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영상 초반부에 잠깐 나오듯이 T3DD의 모드는 게이트 클락 중에도 변경이 가능하다. 게이트 캠핑을 만났다면 침착하게 프로펄전 모드로 바꾸고 인스타워프 기술을 이용해 벗어나면 된다. | *T3DD는 프로펄전/샵슛/디펜스 3개의 모드로 변경이 가능한데, 팩션에 따른 보너스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프로펄전 모드에서의 최고속도는 다른 모드일때보다 훨씬 크다. 이 차이를 이용해 프로펄전 모드에서 워프 돌입을 하고 바로 다른 모드로 전환하여 얼라인 시간을 큰 폭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영상 초반부에 잠깐 나오듯이 T3DD의 모드는 게이트 클락 중에도 변경이 가능하다. 게이트 캠핑을 만났다면 침착하게 프로펄전 모드로 바꾸고 인스타워프 기술을 이용해 벗어나면 된다.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wEod2_Vwwe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wEod2_Vwwe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코옵)마웦클락워프 === | + | ==== - (코옵)마웦클락워프 ==== |
조금 다른 개념이지만 같은 용어로 쓰이는 이것은 [[/코버트옵스]] 클락 모듈을 장착 가능한 함선들이 널섹에서 [[/버블]] [[/게이트 캠핑]]을 빠져나가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이다. 인셉이나 널리 섭시를 장착한 T3크루저는 [[/버블]]에 면역이지만, 그외에는 코옵클락을 끼더라도 버블에는 걸린다. 이때 버블이 얇거나 캠핑하는 적 함선들이 적은 방향으로 얼라인-[[/클락]]-[[/MWD]]을 하고 [[/버블]]로부터 안전하게 빠져나온 직후에 원하는 곳으로 워프를 하는 것이다. 주로 탐사를 다니는 탐사선들이나 인터셉터 대신 스텔스바머로 널섹을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쓰게된다. | 조금 다른 개념이지만 같은 용어로 쓰이는 이것은 [[/코버트옵스]] 클락 모듈을 장착 가능한 함선들이 널섹에서 [[/버블]] [[/게이트 캠핑]]을 빠져나가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이다. 인셉이나 널리 섭시를 장착한 T3크루저는 [[/버블]]에 면역이지만, 그외에는 코옵클락을 끼더라도 버블에는 걸린다. 이때 버블이 얇거나 캠핑하는 적 함선들이 적은 방향으로 얼라인-[[/클락]]-[[/MWD]]을 하고 [[/버블]]로부터 안전하게 빠져나온 직후에 원하는 곳으로 워프를 하는 것이다. 주로 탐사를 다니는 탐사선들이나 인터셉터 대신 스텔스바머로 널섹을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쓰게된다.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dMolZMjyj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dMolZMjyj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